
수의대를 졸업한 후, 저는 꽤 다양한 동물들과 함께하며 시간을 보냈습니다. 처음엔 동물병원에서 강아지와 고양이를 주로 돌보았고, 이후엔 축수산과 수의주사보로 근무하면서 소를 중심으로 한 현장 업무를 맡기도 했습니다. 그때는 소 브루셀라 관련 업무를 담당했기에, 살처분, 이동제한 명령, 보상금 지급 같은 다소 무거운 일들이 많았죠. 소독제 포대가 얼마나 무겁던지요. 산에 묻어야 할 때는 그 무거운 포대를 들고 나르는 게 참 힘들었어요. 그때 헬스를 시작했어야 했는데 말이죠.^^ 그러다 어느 순간, 지금의 실험실 생활로 접어들게 되면서 제 곁엔 마우스(mouse, 생쥐)와 래트(rat, 쥐)가 자리하게 되었고, 이제는 이 작은 녀석들이 제게 가장 익숙하고 또 애정이 가는 동물이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쥐가 ..

혹시 ‘인진호’라는 이름을 들어보셨나요? 예로부터 황달 치료에 쓰이던 대표 한약재입니다.하지만 최근에는 단순한 민간요법을 넘어, 과학적으로도 간 건강에 효과가 입증되면서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인진호 다당류(Artemisia capillaris Thunb. polysaccharide, APS)의 작용 기전과 효과를 중심으로, 담즙 정체성 간질환과 장내 미생물 간의 연결 고리까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1. 왜 인진호가 주목받고 있을까? 한의학에서는 담즙 정체를 황달(jaundice)로 보고 치료하며, 이때 사용되는 대표 약재가 인진호입니다.그중에서도 다당류(polysaccharide)는 인진호의 주요 성분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담즙 정체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급성 위염 실험을 하기 위해 1차적으로 해야 할 것은 동물실험계획서 승인을 받아야 해요. 임상이었을 경우엔?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볼게요. ✅ SMR의 한마디: (1)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IRB(기관생명윤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IRB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생명윤리적 문제를 검토하고, 연구 대상자의 권리·안전·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운영되는 위원회입니다.🧬 IRB 승인 대상 예시설문조사, 인터뷰 등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 연구혈액, 조직, 소변 등의 인체유래물을 사용하는 연구환자 진료기록(EMR 등)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임상시험(신약, 의료기기 등)📄 IRB 제출 서류(일반적으로..

오늘은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용량에 대한 2번째 시간을 가져보려해요.요새 기존 고서에 나온 처방들의 과학화를 위한 작업으로 처방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게 되요. 그래서 투여 용량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환산해서 투여를 하게되네요. ✅ SMR의 한마디: 요새 기존 고서에 나온 처방들의 과학화를 위한 작업으로 처방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게 되요. 그래서 투여 용량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환산해서 투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우리 실험실의 경우엔 골관절염이나 창상의 경우 주로 처방을 사용하고 그 처방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계산해서 (즉, 표준적인100 mg/kg 나 200mg/kg가 아닌) 경구 투여를 하네요. 그럼 좀 더 자세히 살펴볼께요. ✅ SMR의 한마디: 우리가 얼핏 생각하기에 인간이 마우..

오늘은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용량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1탄에서 약물투여군은 아래와 같다고 했습니다. ✅ SMR의 한마디: 대개의 동물실험에서 100mg/kg나 200mg/kg를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많은 동물실험 연구에서 100mg/kg과 200mg/kg은 흔히 사용되는 용량으로, 기존 연구와 비교하기 쉽고, 저용량과 고용량을 비교하여 용량-반응 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입니다. 대개 고용량인 경우가 좋지 않을까?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오일성분이나 아니면 간손상이 악화되어 간섬유화에 이르게 되면 되려 고농도보다는 저농도에서 효과가 잘 나오기도 해요. 만약 인간에게 적용할 한양방 소재를 만들려고 한다면 50mg/kg나 100mg/kg를 사용하게 됩니다. 여기서 kg라고 하는 것은 마우스(생쥐)나..

이제 한약재 선정관련해서 이야기해 볼게요. 1. 논문에서 한약재 선택의 중요성한약재를 선택하는 일은 단순히 특정 약재를 고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논문을 쓸 때는 단순한 실험적 관점뿐만 아니라, 그 약재가 갖는 효능과 과학적 근거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당신이 연구 논문을 쓸 때 한약재를 선택해야 한다면, 이 선택이 향후 연구의 성과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약재는 그 수가 많고, 각각의 효능과 효과가 다양하여,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그 선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한약재를 선택해야 할까요?1-1. 한약재 선택의 첫 번째 기준: 연구 목적에 맞는 효능한약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연구 목적에 맞..

1. 논문 작성 단계별 핵심 포인트 총정리!1-1. 논문 작성이 막막한 당신을 위해 논문을 처음 쓰려하면 막막함이 몰려옵니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이걸 다 써야 하나?" 같은 고민이 들죠. 하지만 논문도 결국 틀을 알고 나면 어렵지 않습니다. 오늘은 논문의 기본 구조(IMRAD)를 이해하고, 단계별로 핵심 포인트를 짚어보겠습니다.2. 논문의 기본 구조: IMRAD란?논문을 작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이 바로 IMRAD(Introduction,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구조입니다. 이 형식은 논문의 논리적인 흐름을 잡아주기 때문에 초보 연구자들도 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2-1. IMRAD 구조 살펴보기Introduction (서론): 연구의 배경과 ..